약정주의
약정주의란, 언어는 인위적 약속의 체계라는 입장을 말합니다.

약정주의는 지극히 상식적인 주장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도 세계에 각기 서로 다른 음성과 표시의 체계를 가진 많은 언어들이 있다는 사실은 약정주의를 지지해 줍니다. 예컨대, 한국어로 '말'은 중국어로 '話言', 영어로는 'language'입니다. 이 다양한 소리나 표시 중 어느 하나만이 옳고 다른 것들은 틀리다고 할 수 없습니다. 사정이 이렇다면 낱말의 의미가 자연적이라는 주장은 맞지 않아 보입니다. 어떤 새로운 사건 또는 사물을 표현해야 할 때 적절한 낱말이 없으면 새로운 낱말을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또한 낱말의 의미가 모호한 경우 어떤 사용이 옳은지 판단하기도 합니다. 낱말의 의미가 그 낱말을 사용하는 사람에 의해서 확립된다는 것은, 그 의미가 약정적이라는 말입니다.
물론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의미는 우리가 만들지 않았습니다. 언어의 의미는 그 진화 과정에서 우리가 태어나기 훨씬 전 수많은 사람들에 이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인간은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언어의 의미를 발견하기 때문에, 낱말들이 자연스럽게 사물들을 있는 그대로 나타낸다는 인상을 강하게 갖게 됩니다. 부모로부터 배우게 되는 언어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습득되기 때문에 언어의 의미가 자연적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언어의 창조는 공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랍드렝 의하여 수천 년 동안 다양하게 사용된 결과로 이루어집니다. 이런 과정에서 낱말의 의미는 변하기도 하고 확자오디기도 합니다. 사실상, 인간과 언어는 상화 간에 상승 작용을 하면서 빠르고 정교하게 발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약정주의는 무엇보다도 앎이 어떻게 가능한지 명확하게 보여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참, 거짓이 이 언어 또는 저 언어의 인위적 규칙의 기능에 불과하다면, 어떤 진술도 객관적으로 참일 수 없다. 언어와 세계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내가 지금 상대방과 의사소통하는 것이 참이라고 믿을 이유가 없게 됩니다. 각각의 언언가 인위적으로 확립된 기호와 규칙들의 체계라면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런 어려움을 우회하기 위해서 언어를 게임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모든 게임에 규칙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에도 고유한 규칙이 있습니다. 게임의 규칙을 모르거나 준수하지 않으면 게임을 할 수 없는 것처럼, 언어의 규칙을 모르거나 준수하지 않으면 대화는 불가능합니다. 다시 말하면, 언어의 사용을 게임에서의 움직임과 유사하게 보는 것입니다.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은 그 게임의 규칙에 따라서 어떤 것은 할 수 있고 어떤 것은 할 수 없습니다.
이런 설명은 언어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모든 언어는 게임과 마찬가지로 그 자신의 독특한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 어떤 특정한 언어를 말하고자 한다면 그 언어의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그 언어를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거나 올바르게 말하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대화의 상대방은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언어나 게임에서 움직임을 관장하는 규칙이 자연적인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하자면, 언어나 게임의 규칙들은 당사자들의 합의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집니다. 게임의 규칙이 바뀌듯이 언어의 규칙도 바뀝니다. 물론 언어 게임을 지배하는 규칙은 운동 경기의 규칙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합니다. 그러나 둘 다 기본적으로 게임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언어 규칙은 점진적이고 자연스러운 진화의 산물입니다. 규칙을 따른다는 것은 항상 긴장을 동반하기 마련입니다. 그렇다고 언어 규칙을 따르지 않거나 규칙 자체가 느슨하다면 많은 혼란이 발생할 것입니다. 언어 규칙은 사회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물론 이 규칙들 전부가 논리 규칙은 아닙니다. 언어가 복잡해지고 시시비비를 가려야 하거나 다양한 주장들을 평가해야 할 경우가 많아지면 이런 혼란을 정돈할 장치가 필요해집니다. 이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당사자들의 승복할 수 있는 공정한 규칙입니다. 이런 규칙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도록 보편성을 갖게 될 때 그 규칙은 논리규칙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즉, 논리학은 보편성을 추구합니다. 보편성은 객관성을 의미하며, 객관성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객관성의 추구는 사물을 냉정하게 대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정신을 기릅니다. 합리성이 근대 문명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논리적 사고가 얼마나 중요한지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