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리학

논증은 무엇인가

by 클라에즈 2024. 2. 8.
반응형

 

 

논증이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진술들이 다른 진술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논리학의 기본단위로서 전제와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논증이란
논증이란

 

 

전제란

이유와 증거를 공표하는 진술을 말합니다.

 

 

결론이란

전제가 뒷받침하는 진술을 말합니다. 

 

 

논증의 개념

 

논증은 논쟁이 아닙니다. 또한 논증은 말싸움이나 다툼이 아닙니다. 물론 말싸움을 하는 사람이 논증을 사용하 ㄹ수도 있습니다. 논리학에서 논증은 하나의 주장이 표현되고 그 주장에 대한 이유가 제시되는 확인가능한 추리를 말합니다. 논증은 전제인 진술과 결로닝ㄴ 진술로 구성됩니다. 증거를 언급하는 진술이 전제이고 주장되는 진술이 결론입니다. 논증은 하나 이상 다수의 전제를 가질 수 있지만 결론은 (정의상) 하나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논증의 진술들은 특별한 관계 속에 있습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진술이 다른 진술을 위한 이유를 제공하는 것을 추론적 관계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전제로부터 결론에 이르는 추론(inference)이 있다고 말하거나, 결론이 전제로부터 추론되었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논증의 전형적인 특징은 그 추론적 관계가 있다는 점입니다. 논증의 이해는 언어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요구합니다. 논증의 전제가 결론을 뒷받침하는가를 판단하기에 앞서 전제와 결론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이런 논증을 이해하고 평가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우리의 사고는 언어를 통해 표현됩니다. 사고가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생각이라면 언어는 그것을 드러내 보이는 일종의 매개체입니다. 나의 마음속에 있는 생각이 아무리 특별하고 창조적이라도 언어로 표현되지 않으면 다루기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난을 확실하게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이 머리에 떠올랐을 때 그것을 문자화한다면 보다 쉽게 공유될 수 있습니다. 인간은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고, 명령을 내리고, 주장을 합니다. 수학이나 물리학과 같은 분야도 언어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물론 이 모든 경우가 논리학의 연구 대상은 아닙니다. 논리학의 기본 단위는 어떤 특정한 사실을 진술하는 문장입니다. 

 

다음의 예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2) Aristotle is a Greek philosopher.

 

위의 (1) 번과 (2) 번은 전혀 다른 언어인 한글과 영어로 된 문장이지만 같은 사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언어로 무엇인가에 대하여 말할 때 음성으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그것이 문장화되었을 때 비로소 논리학의 연구 대상이 됩니다. 문장은 낱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낱말은 어떤 특정한 사물을 지시하거나 속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다른 낱말의 일부를 구성합니다. 

 

 

논리학의 기본 단위는 진술(statement) 또는 명제입니다. 논리학자에 따라서 명제 대신에 진술을 사용하기도 하고 진술과 명제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같은 의미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명제는 사실을 나타내는 문장을 말합니다. 명제가 사실을 나타낸다는 것은 명제가 참, 거짓으로 판명 난다는 것입니다. 문장의 참, 거짓이 문제가 아닌 경우 진술이란 표현을 사용하겠습니다. 위의 예에서 (1) 번과 (2) 번은 비록 다른 언어로 표현되어 있지만 둘 다 동일한 사시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명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제(proposition)


참 또는 거짓으로 판명되는 문장을 말합니다. 

 

 

 

명제가 사실을 나타내는 문장이기 때문에 명제도 문장과 마찬가지로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나타냅니다. 이런 점에서 명제는 문장과 같을 수 있지만 문장은 명제보다 그 외연이 넓습니다. (외연: 개념이 적용되는 전체 범위) 왜냐하면 문장은 위의 예들에서 보듯이 사실을 나타내는 것 외에도 감정을 표현하고 행동을 지시하며 의문이나 감탄을 나타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아뿔싸"와 같은 단순한 외침, "내일 그 친구가 약속 장소에 나올 것인가?"와 같은 의문문, "중대, 앞으로!"와 같은 명령문은 명제가 아닙니다. 물론 감탄문이나 의문문도 명제를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는 있습니다. 

반응형

'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과 기술  (0) 2024.02.11
명제와 결론  (0) 2024.02.09
정보와 논리  (0) 2024.02.07
논리와 언어 : 약정주의에 대해  (0) 2024.02.06
언어와 사고  (0) 2024.02.04